포도막염(Uveitis) 포도막염의 원인
포도막염(Uveitis)
1. 포도막염이란?
포도막염(Uveitis)은 눈의 포도막(Uvea)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의미합니다. 포도막은 눈의 홍채(Iris), 모양체(Ciliary body), 맥락막(Choroid)으로 구성된 조직으로, 눈에 혈액을 공급하고 빛 조절 기능을 담당합니다. 이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시력 저하, 눈의 통증,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
2. 포도막염의 원인
포도막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, 감염성 원인과 비감염성 원인으로 나뉩니다.
✅ 감염성 포도막염
- 바이러스 감염: 단순포진바이러스(HSV), 대상포진바이러스(VZV)
- 세균 감염: 결핵균, 매독균, 톡소플라스마
- 곰팡이 감염: 칸디다증, 히스토플라스마증
- 기생충 감염: 톡소카라증, 사상충증
✅ 비감염성 포도막염
- 자가면역질환: 베체트병, 강직성 척추염, 류마티스 관절염, 크론병 등
- 외상성 원인: 눈 부상, 수술 후 합병증
- 특발성 원인: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
3. 포도막염의 종류
포도막염은 발생 위치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
- 전포도막염 (Anterior Uveitis): 홍채염(iritis)과 홍채모양체염(iridocyclitis) 포함. 가장 흔한 형태로 눈이 충혈되고 빛에 민감해집니다.
- 중심포도막염 (Intermediate Uveitis): 유리체 및 망막 주변부 염증. 시력 저하가 주요 증상입니다.
- 후포도막염 (Posterior Uveitis): 맥락막염, 망막염 포함. 시력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- 범포도막염 (Panuveitis): 포도막 전체에 염증이 발생하는 심각한 유형으로, 베체트병과 관련이 많습니다.
4. 포도막염의 증상
포도막염은 갑자기 나타나거나 서서히 진행될 수 있으며,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됩니다.
- 눈의 충혈
- 눈의 통증 및 불편감
- 빛에 대한 민감성(광공포증)
- 흐린 시야 및 시력 저하
- 눈부심 및 비문증(떠다니는 점 또는 선 보임)
5. 포도막염의 진단
포도막염 진단을 위해서는 안과 검사가 필수적입니다.
1️⃣ 세극등 검사(Slit-lamp examination): 전방의 염증 유무 확인
2️⃣ 안압 측정(Tonometry): 녹내장 동반 여부 확인
3️⃣ 산동 검사(Dilated fundus examination): 후포도막염 감별
4️⃣ 혈액 검사 및 영상 검사: 감염 여부, 자가면역질환 감별
6. 포도막염의 치료 방법
포도막염의 치료는 원인과 염증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
🔹 항염증 치료: 스테로이드 점안제(프레드니솔론), 스테로이드 주사 또는 경구 스테로이드
🔹 면역억제제: 자가면역 원인의 경우 사이클로스포린, 메토트렉세이트 사용
🔹 항생제/항바이러스제: 감염성 원인일 경우 항균 치료
🔹 산동제(Atropine, Cyclopentolate): 동공을 확장시켜 통증 완화 및 유착 방지
7. 포도막염의 예방법
✅ 자가면역질환 관리: 정기적인 건강검진 및 면역 질환 치료
✅ 감염 예방: 손 씻기, 콘택트렌즈 위생 철저
✅ 눈 건강 유지: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 착용, 금연
포도막염은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, 방치할 경우 시력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 지속적인 눈 통증이나 시력 저하가 있다면 즉시 안과 진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