욕창(Pressure Ulcer): 원인, 증상, 치료 및 예방법 총정리
욕창(Pressure Ulcer): 원인, 증상, 치료 및 예방법 총정리
1. 욕창이란?
욕창(Pressure Ulcer, Bedsore)이란 장기간 같은 자세로 누워 있거나 앉아 있을 때 피부와 연조직이 지속적인 압력을 받아 혈액 공급이 차단되면서 발생하는 피부 괴사(조직 손상)입니다.
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, 장기 입원 환자, 고령층에서 발생하며, 조기에 발견하지 않으면 감염으로 인해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2. 욕창의 원인
욕창은 주로 압력, 마찰, 전단력(Shear force)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합니다.
✔ 장시간 압력(Pressure) – 오랫동안 같은 자세로 있어 혈류가 차단되면서 조직 괴사가 발생
✔ 마찰(Friction) – 피부가 침대, 의자 등에 지속적으로 문지르면서 피부 손상이 유발
✔ 전단력(Shear force) – 침대에 비스듬히 누워 있거나 끌어당길 때 피부와 근육층이 서로 이동하면서 혈관이 손상
⚠ 욕창 발생 위험 요인
✅ 고령층(노인 환자) – 피부 탄력 저하 및 혈액순환 감소
✅ 장기 입원 환자 – 침대에서 장기간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
✅ 척수 손상 환자 – 신경 손상으로 인해 감각 저하
✅ 당뇨병 환자 –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상처 회복 지연
✅ 영양 부족 – 단백질, 비타민 부족 시 피부 회복 능력 감소
3.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
욕창은 뼈가 돌출된 부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.
✔ 등(척추 부위) – 장시간 누워 있는 경우
✔ 엉덩이(천골, 좌골 부위) – 휠체어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
✔ 발뒤꿈치, 발목 – 침대에 발을 대고 있을 때
✔ 팔꿈치, 어깨뼈 – 옆으로 누워 있는 경우
4. 욕창의 증상 및 진행 단계
욕창은 4단계(Stage 1~4) 로 진행되며,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✔ 1단계(초기 증상)
✅ 붉은 반점이 생기며 눌러도 색이 돌아오지 않음
✅ 가려움, 따끔거림 등의 감각 변화
✅ 피부 손상 없음
✔ 2단계(표재성 궤양)
✅ 피부가 벗겨지거나 물집이 생김
✅ 염증으로 인해 붉은색이나 분홍색으로 변화
✅ 감염 위험 증가
✔ 3단계(심부 궤양)
✅ 피부 아래 지방층까지 손상
✅ 깊고 패인 상처(크레이터처럼 보임)
✅ 심한 경우 악취 및 고름 발생
✔ 4단계(심각한 조직 괴사)
✅ 근육, 힘줄, 뼈까지 손상
✅ 검거나 괴사된 조직(괴저)이 나타남
✅ 심각한 감염(패혈증) 위험
⚠ 욕창 감염 증상
✅ 발열(열이 나거나 오한이 듦)
✅ 상처 부위에서 악취가 나거나 고름 발생
✅ 상처 주변이 붉게 부어오름
5. 욕창 치료 방법
욕창은 초기에 치료하면 회복 가능하지만,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✔ 1~2단계 치료(초기 욕창)
✅ 압력 해소 – 자주 체위를 변경하여 압력을 분산
✅ 보습 및 보호 – 욕창 부위에 수분 크림을 발라 피부 보호
✅ 상처 드레싱 – 습윤 드레싱(Hydrocolloid, Foam dressing) 사용
✔ 3~4단계 치료(심한 욕창)
✅ 괴사 조직 제거 – 괴사된 조직을 제거(변연 절제술, 고압산소 치료)
✅ 항생제 치료 – 감염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항생제 사용
✅ 피부 이식 – 심한 경우 피부 이식 수술 필요
6. 욕창 예방 방법
욕창은 치료보다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
✔ (1) 체위 변경 및 압력 분산
✅ 2시간마다 체위 변경 – 침대에 있는 환자는 2시간마다 자세를 바꾸기
✅ 쿠션 사용 – 욕창 예방용 에어매트리스, 젤 쿠션 활용
✅ 휠체어 이용자는 15~30분마다 자세 조정
✔ (2) 피부 관리
✅ 피부 청결 유지 – 땀이나 소변으로 인해 젖지 않도록 관리
✅ 보습제 사용 – 피부 건조를 방지하고 보호막 형성
✅ 마찰 방지 – 침대 시트나 의류가 피부에 문질러지지 않도록 조심
✔ (3) 균형 잡힌 영양 섭취
✅ 단백질 섭취 – 피부 재생을 돕기 위해 고기, 생선, 계란, 두부 섭취
✅ 비타민 & 미네랄 – 비타민 C, 아연(Zinc) 섭취로 상처 회복 촉진
✅ 충분한 수분 섭취 – 하루 1.5~2L 물 마시기
✔ (4) 적절한 운동
✅ 가능한 경우 가벼운 스트레칭 및 움직이기
✅ 침대에서 다리 올렸다 내리기, 발목 돌리기 등 간단한 운동 시행
✔ (5) 의료 장비 활용
✅ 욕창 방지 에어매트리스 사용
✅ 특수 쿠션 사용(휠체어 환자의 경우)
✅ 압력 분산 침대 활용
7. 결론
욕창은 초기에 관리하면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지만, 방치하면 감염 및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특히 거동이 어려운 환자는 정기적인 체위 변경, 피부 보호, 영양 관리를 통해 욕창을 예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가족이나 간병인은 환자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, 욕창이 의심되면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